본문 바로가기
Gardening/재배학

타가수정, 他家受精, cross-fertilization, 타식성 작물

by 챰허브 2024. 8. 1.

 

타가수정(他家受精) / 타화수정(他花受精)

 

생물의 수정 중 다른 계통과의 수정으로 자가수정에 대응되는 말이며 다른 개체 사이 또는 다른 그루 사이에서의 수정,

식물의 특수한 경우에는 같은 그루 안의 다른 꽃 사이에서의 수정을 가리킨다. 식물에서는 타화수정(他花受精)이라고도 한다. 육종방법으로 주목된다.

 

남의 꽃가루를 받아 수정하는 작물을 말하며 암수 꽃의 개화기 차이, 화기의 구조, 또는 유전적으로 자가 꽃가루받이를 하면 수정이 안 되는 작물은 타가수정을 하게 된다.

 

타가수정하는 작물로는 

자웅이주 : 시금치, 은행나무 , 삼, 아스파라거스, 호프

자웅동주,웅예선숙 : 옥수수,수박,오이,밤

양성화 웅예선숙 : 양파, 마늘, 딸기

자가 불화합성 : 배추 무 호밀 메밀

등이 있다.

 

 

참고로

자식성 작물을 보면

자식성 작물(10): 참깨, 밀, 토마토, 담배, 가지, 콩 완두, 복숭아, 벼, 보리

벼, 보리, 밀 / 콩, 완두 / 가지, 참깨

토마토

복숭아 담배

등의 작물이 자식성 작물이다.

 


 

네이버지식백과:

암수딴그루(자웅이주) : 암술과 수술이 서로 다른 개체에서 생김. (은행나무, 시금치 등)

 

암수한그루(자웅동주) 이화 웅예선숙 : 암술과 수술이 같은 개체에 있으나 서로 다른 부위에 위치하고 있으며, 수술이 먼저 성숙함. (옥수수, 밤, 오이, 수박 등)

양성화 웅예선숙 : 같은 꽃 속에 암술과 수술이 함께 있으나 수술이 먼저 성숙함. (양파, 마늘 등)

이형예현상 : 같은 종의 식물에서 형태가 다른 꽃이 생기는 현상, 같은 꽃에서 화중의 길이가 다른 이형화주성 식물이 대표적임. (메밀, 개나리 등)

자가불화합성 : 암술과 수술의 유전자 또는 유전자형이 동일한 경우 종자를 맺지 못 함. (배추, 양배추, 무 등)

'Gardening > 재배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원식물  (0) 2024.08.01
재배학 참고 사이트  (0) 2024.08.01
웅예선숙, 雄蕊先熟  (0) 2024.08.01
스마트 농업, 정밀 농업, 새로운 농업의 방향  (0) 2024.07.31
재배학원론 농학과 방송대  (0) 2024.07.30